2021.12.04 - [인생은 복리다] -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1)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1)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1) 안녕하세요~ 요즘은 날이 많이 추워졌어요. 여러 이웃님들 날씨가 많이 추운데 감기 조심하시고, 옷 따뜻하게 입고 다니세요. 오늘은 앞서 공부했던 미국 다우
kayhappy.com
2021.12.05 - [인생은 복리다] -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2)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2)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2) 앞선 글에 이어 미국 다우 존스 30 지수의 나머지 20 종목에 대하여 글을 이어가겠습니다. 1. 다우존스 구성종목 11~20 11. 인텔(INTC)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칩
kayhappy.com
ETF란 무엇인가? 미국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법(3)
안녕하세요.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컴파운더의 글을 보러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말에 다들 푹 쉬고,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지난 글에서 공부했던 미국 다우존스 30 지수에 투자하는 법에 대한 마지막 글입니다. 우선, 다우존스 30 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인덱스 펀드와 ETF가 있습니다. 버핏 할아버지는 과거 본인이 사망하게 되면 인덱스펀드에 90%, 미국 국채에 10%를 투자하라고 했는데, 과거에 비해 현재는 ETF라는 투자하기 아주 편한 상품이 생겨 지수 추종을 할 경우 대부분 인덱스펀드보다는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덱스펀드(Index Fund)와 ETF(Exchange Traded Fund)의 차이에 대해 알아봐야 할텐데요. 간단히 알아보자면, 인덱스 펀드와 ETF 모두 특정 시장의 주가지수에 따라 투자가 되는 상품인데, 인덱스 펀드는 해당 펀드 내에 펀드매니저가 각 회사의 비중을 펀드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ETF 투자는 펀드매니저가 관여할 부분이 거의 없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ETF의 경우 주식거래 방식과 동일하게 주식시장에서 빠르게 거래할 수 있고, 수수료도 저렴하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제 개인적으로 인덱스 펀드보다 ETF 투자를 선호하며, 각 시장 지수 외에도 산업, 섹터별(ex. 바이오, 반도체, 전기차, 자동차 등)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ETF 투자라는 것이 해당 상품 내에 여러 종목을 통으로 묶어 투자하는 방식이기에 개별종목의 등락과 개별 회사의 위기에 대해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 초보 투자자와 투자를 오래 하신 분 모두에게 아주 좋은 투자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했던 다우 지수에 속해있는 30 종목 중 특정회사에 위기가 발생하여(ex. 중국 신장지역의 인권문제로 인해 신장지역 면화 사용 금지 후 불매운동이 일어났던 나이키) 개별종목인 나이키에 위기가 찾아온다 해도 같이 편입되어 있는 마이크로 소프트, 애플 등 다른 회사들이 굳건하게 버텨주거나 혹은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나이키에서 하락했던 주가를 만회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저 역시도 ETF 투자와 개별 종목 투자를 병행하고 있으며, 코로나 때 주식을 시작하신 어머니와 누나에게도 ETF 투자를 적극 추천하고 있습니다.
1. 미국 상장 ETF DIA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ETF중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로 DIA가 있습니다. DIA는 3대 지수라 불리는 다우 존스 지수, S&P500, 나스닥 100 ETF 중 유일하게 월배당을 실시하는 ETF로 정식 명칭은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Trust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DIA는 미국의 3대 자산운용사인 SPDR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1998년 상장 이후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ETF입니다.
DIA의 현재 주가는 2021년 12월 6일 새벽 기준으로 346.24$입니다. 원화 기준으로는 원달러 환율인 1183원을 곱하면 409601.92원 약 41만원입니다. 또한 자산규모는 약 291억 달러로 약 30조 원이 넘는 자산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은 2.4%로 1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1년에 2만 4천 원입니다. 거기에 세금을 제한 후 12개월로 나누어 매달 지급합니다.
자산구성으로는 99.87%의 다우 30 종목을 보유하고있고, 현금비중 0.13%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구성 비율로는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금융 19.74%, 기술 19.15%, 보건 의료 17.56% 등 다양한 섹터에 투자되어있습니다.

이상으로 미국 시장에서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대표 ETF인 DIA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으로 다우지수를 한국 시장에서 투자할 수 있는 국내 상장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다우 지수 한국 시장에서 투자하기. TIGER 미국다우존스30
국내에 상장된 ETF 중 미국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TIGER 미국 다우존스 30 ETF가 있습니다. 우리가 국내 시장에서 ETF를 투자하려 하면 TIGER, KODEX, ARIRANG 등 각 자산운용사별 브랜드가 나오게 됩니다. 그 중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KB자산운용은 KBSTAR, 한화 자산운용은 ARIRANG, 한국투자신탁은 KINDEX, 키움은 KOSEF등 각각의 자산운용사별로 앞에 브랜드명이 나오고 그 뒤에 투자대상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상품인 TIGER 미국다우존스30 ETF의 경우 미래에셋 자산운용에서 운용하고있고 미국다우30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를 보면 환 노출형과 환 헤지형이 있는데, 위의 TIGER 미국다우존스30 ETF는 환노출형 상품으로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INDU)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총보수는 0.35%로 위에 설명했던 DIA보다 수수료가 비쌉니다. 하지만, 앞서 DIA의 경우 한 주당 약 41만 원으로 ETF를 매수하는 데 있어 부담이 될 수 있지만, TIGER 미국 다우존스 30의 경우 2021년 12월 6일 현재 1주당 20,850원으로 DIA와 비교하면 부담을 덜고 매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시장에 상장된 상품이기에 따로 환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앞서 환 노출형 상품과 환 헤지형 상품을 나누어 말씀드렸는데 환 헤지형 상품의 경우 상품명 뒤에 (H)가 붙게 됩니다. 예를 들어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가 있습니다. 환 노출형과 환 헤지형의 차이는 환헤지형 상품의 경우 환율에 따른 금전적 손실을 막기 위해 특정 시점의 환율에 미리 고정해 놓는 것으로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상품입니다. 반대로 환 노출형의 경우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글로만 보면 환 헤지형이 더 좋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환 헤지형보다 환 노출형을 더욱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 이유로는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국이 아니기에 환율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과거 IMF, 리먼 브라더스, 코로나 때처럼 우리나라 경제에 위기가 와서 주가가 폭락하게 되면 그와 반대로 달러는 상승하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그로 인해 위기시 손실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환 헤지형보다 환 노출형을 더 선호합니다.
이로써 3부에 걸친 '미국 다우 존스 지수란 무엇인가?'와 다우 존스 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모두 알려드렸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글을 적으며 다우 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종목에 대해 다시 한번 공부하고, 상기시킬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또한 유익한 정보를 여러분들께 알려드릴 수 있게 되어 재밌게 글을 적었습니다. 최대한 쉽게 글을 적으려 노력했지만, 주린이 여러분들께서 보기에 조금은 어려운 용어도 있을 것이고, 전문가가 아니기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또한 틀린 내용이 있다면 역시 댓글로 남겨주시면 빠른 시간 안에 최대한 수정하겠습니다.
2021년 12월 6일 월요일 아침이네요. 새로운 한주가 시작되는 날인데 이번 한 주도 우리 모두 힘내서 즐겁고 행복하고 특별한 일이 가득한 한 주를 잘 보내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오늘도 컴파운더의 글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인생은 복리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배당주 순위, 배당 수익률 알아보는 방법 (0) | 2021.12.14 |
---|---|
배당주 투자란 무엇일까? 배당 시즌이 다가온다 (0) | 2021.12.10 |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2) (1) | 2021.12.05 |
미국 다우 지수에 투자하는 법(1) (0) | 2021.12.04 |
종합주가지수 (다우지수, S&P500, Nasdaq, 코스피, 코스닥 )이란 무엇일까? (0) | 2021.12.03 |
댓글